집에서 만드는 생선초밥

Posted 2009. 2. 2. 02:33
<07.5.21일 작성한 글입니다>
미국에 와서 살면서 느끼곤 하는 것이,
사먹어야만 하는걸로 생각했던 메뉴, 어렵다고 시도할 생각조차 안했던 메뉴들이 사실 알고보면 그리 어렵지도 않다는 것을 하나씩 느끼게 됩니다.

생선초밥은 한국선 가끔 엄마랑 만들어서 가족이 함께 즐기곤 했는데 미국에 와서는 내륙에 살다보니 활어를 구하기 힘들어 자주 만들어 먹진 못하네요..^^.
자 그럼 만들어 볼까요~
제가 준비한 재료는요,

밥, 배합초, 연어, 도미,새우, 게맛살, 김약간, 게맛살+참치+마요네즈 버무린 것.


활어를 구하기 힘든 동네라서 냉동을 이용했습니다.
냉동 연어와 횟감으로 포장한 냉동 도미, 이미 조리가 된 새우..

냉동연어는 미리 녹여서 칼로 회뜨듯 썰어 놓구요, 도미도 마찬가지구요.
어느분이, 연어는 사시미그레이드가 아닌 것을 생으로 먹지 말라고 하시더라구요..
반면 어떤분은, 냉동으로 10일이상 지나면 기생충이 다 죽어서 괜찮다고 하시는 분도 계시구요..
제가 이걸 해먹었을때는 아무 것도 모르고 먹었는데.. 지금은 망설여지긴 합니다..저에게 정확한 정보를 주실분~
우쨌든, 새우는 등을 반정도 칼로 자른후 펼쳐서 칼등으로 살살 두드려 펼칩니다.
이곳에선 한국마트에 가면 초밥용 생선을 잘 포장해서 팔더라구요.
문어도 있고, 새우도 다 손질해서 진공포장되어있으니 그런 것을 이용하셔도 될거에요..단 가격은 그리 싸진 않더라구요..
그걸 이용하셔도 됩니다.

단, 그런 새우보다는 생새우를 직접 데쳐서 사용하면 훨씬 맛이 좋지요..

*새우는 등의 내장을 제거한 후 꼬치로 길게 끼워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완전히 식으면 꼬치를 빼고 배쪽으로 칼을 넣어 잘 펼쳐주면 됩니다.그리고선 초생강물(분홍색 초생강있죠..거기 절임액)에 담가놓으면 좋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파는 손질된 새우처럼 쪽 펴진 새우가되요.*

밥은 다시마 한 장 넣으셔서 고슬고슬 하게 지으시구요.
 
*전기압력밥솥 쓰시는 분들은 (저처럼 쿠쿠)평소처런 백미고압으로 하지 마시고 백미 저압으로 하세요.
스시집에서 일하는 아는 동생이 그러더라구요. 밥이 그렇게 찰지면 안된다네요..^^*

배합초를 만듭니다~.
식초:설탕:소금=3:2:0.5정도의 비율로 하시면 되구요.
좀 더 쉽게 설명드리자면 식초 1컵, 설탕 2/3컵, 소금 밥숟갈로 살살 한숟갈정도입니다.
밥을 6인분 정도 했을때 위의 양이 배합초하고 조금 남는 정도입니다.
살짝 끓이셔서 설탕이 잘 녹아 어우러지도록 해주세요.
팔팔끓지 않아도 괜찮아요. 설탕이 잘 녹을정도로만 데우면 되요.
유부초밥도 이렇게 하시면 되요~
밥에 배합초를 적당히 부으시면서 주걱으로 살살 섞어서(주걱을 세워서 섞으세요)밥알이 으깨지지 않도록 해주세요.
창문 앞이나 부채질을 하면서 재빨리 섞어서 체온정도로 식혀주세요.
그리고 배합초는 좀 넉넉히 만들어 놓으시구요.. 초밥을 만들때 필요합니다.. 
 
자 이제 초밥을 만드는데요,
먼저 남은 배합초를 양손에 묻혀서요, 밥을 적당히 손에 쥐고 뭉칩니다
이때 밥 양은, 손을 폈을 때 손이 세마디잖아요, 그 중 두마디 정도, 네 손가락에 덮을만큼 정도로 살짝 떠서 뭉치세요.(어느 방송에서 보니 밥알수가 120알인가..한다네요. 초밥하나에요..이정도면 그 120알이 될라나요?^^).
여기서 너무 세게 꽉꽉 뭉치시면 밥 뭉그러지고 맛없어요..적당히 뭉쳐주시구요 

 
이 밥을 왼손으로 옮겨 쥐고 와사비(고추냉이..)를 적당히 살짝 밥에 올려줍니다.
와사비는 연와사비로 튜브형태로 된 것을 구입해서 하셔도 됩니다. 가루 와사비 일 경우, 따뜻한 물에 개어서 만드시면되요. 가루와사비가 튜브와사비보다 더 매워요. 
 
그리고 생선한조각을 살짝 얹어 살짜쿵 눌러줍니다. 밥에 얹어져 고정될 수 있도록요..여기서도 너무 꾹 누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고수가 아니라서 아무래도 어설프지요..이해해주세요~*
 
 

만드신 초밥을 먹기좋게 접시에 담으시면 됩니다. 남은 와사비에 간장을 더해서 드시면 되구요,
드실땐 생선쪽으로 간장을 묻혀 먹는게 정석이라더라구요..
참 요기에 보이는 게맛살 초밥은요,
좀 고급 게맛살(크래미나, 오사끼맛살이 좋아요)을 자르셔서 밥에 얹으신후 김으로 살짝 둘러주시면 되요. 사진에 보이는 맛살은 그정도의 좋은 맛살은 아니어서 때깔이 그리 고급스럽진 못합니다..^^
. 아이들을 위해 와사비를 얹지 않은거구요. 
 

이때 좀 급하게 만들어서 제대로 된 완성샷이 없네요.. *^^*
요건 남은 밥으로 아이들을 위해 싼 롤입니다.
구운 김밥김 한장에 밥을 얹고 다시 김 반장을 얹은 다음 맛살+참치+마요네즈 버무린것을 듬뿍 얹고 말아준 거에요. 
 

아무래도 전문적인 손길이 아니어서 보기에도 많이 어설퍼 보이죠? 
고수분들에 비하면.. 많이 어색하게 보이실거에요..ㅎㅎ
그래도 그냥 아~이렇게도 만들어 먹는구나..하고 참고가 되셨음 좋겠습니다~

**식초의 산도에 따라 신맛이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 한국식초가 미국식초보다 더 신 것 같아요. 입맛에 따라 조정하세요..^^

'음.식.열.전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패는 없다. 콩나물 밥.  (9) 2013.01.30
비빔밥  (0) 2012.05.17
손님접대에 짱~새우튀김롤(shrimp tempura roll)  (6) 2010.03.02
전국민의 먹거리 김밥  (0) 2009.01.25
오징어 숙회 비빔밥  (0) 2008.06.18

오늘 나갔다가 들어오는길에 쌀국수 재료를 사기위해 중국마트를 잠깐 갔었어요.
그곳이 숙주가 싱싱하거든요.
숙주를 사는데 옆에 주키니가 자그마한것들이 두개씩 포장되어 있더라구요.

'호박안먹은지 좀 된것 같네..' 싶어 한봉다리 1불 30센트 주고 샀어요.
처음에는 호박전을 하려고 했는데 그럼 아이들이 잘 안먹거든요.

그래서 야채를 이것저것 넣고 부쳐야겠다 싶더라구요.
그렇게 해서 부치면 평소 야채 잘 안먹는 아이들도 좀 먹어서요^^

워낙에 간단하고 쉬우니까 내일 한번 해보세요.

쪼그마한 팁도 드릴게요^^

일단 재료는요,

아이다호 감자 1개
당근 중간것 1개
호박(주키니) 2개(크지 않은것)
새우 10마리(좀 큰놈들)
밀가루 3컵반
물4컵~4컵반
소금 1과 1/2작은술
후추,마늘가루,양파가루 약간.

*야채는 이왕이면 가늘가늘하게 채를 써시구요
*새우는 칼로 막 다져주세요.덩어리가 있으면 나중에 혼자 떼굴떼굴 다니더라구요. 
 

*사진에는 아직 감자가 안들어간 거에요. 감자 넣기전에 찍어서..^^

*그 다음 나머지 재료를 넣어 반죽을 하시면 되죠.
되기를 보면서 반죽을 하세요. 약간 묽은게 좋으시면 물을 더 넣으시고, 되직한게 좋으시면 덜 넣으시고..^^

*밀가루는 되도록 한국밀가루를 쓰세요. 곰표나 백설이나 아무거나요..
이런 부침개 같은것도 미국밀가루는 영 맛이 안나요. 질감이 찐덕거린다고나 할까요.. 한국음식에는 한국밀가루가 최고에요.^^


*. 
 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예열을 합니다.
아시다시피 예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죽을 부으면 맛이 없지요..기름 철퍽 하게 먹구요..
위에 손을 대보셔서 따땃~하게 열기가 올라오면 그때 반죽을 넣으시면 되요



*반죽을 붓고 기다리시면 위가 반투명하게 되면서 익어가는게 보이시죠?
이때 뒤집으면 되는데요,
요기서 팁! 뒤집기 전에 위에 기름을 살짝 뿌리세요. 아래부분은 기름을 두르고 반죽을 부어서 기름위에서 바삭하게 잘 부쳐지고 있지만 윗부분은 뒤집어 버리면 여유의 기름이 없어 말라버리듯 부쳐지기 쉽거든요.
기름을 살짝 뿌려서 뒤집으면 아랫부분과 똑같이 바삭하고 촉촉하게 부칠 수 있지요. 
 

*그렇게 뒤집어 양쪽이 잘 익으면 꺼내 접시에 담아 드시면 되지요.

여기서 한가지 더 팁! 바로 드실거면 괜찮은데요, 조금 시간이 지나서 드시게 된다면 접시에 담지 마시고, 빵구워식힐때 쓰는 식힘망위에서 식히세요.
뜨거운 전을 바로 접시에 담으면 접시에 닿는 아랫부분이 열기때문에 수분이 생겨 눅눅해지잖아요.
식힘망위에서 한김 식혀서 접시에 담으면 눅눅함을 막을 수 있답니다.
식힘망 위에는 페이퍼타올같은거 안깔으셔도 되요. 
 

*완성샷이 이것밖에 없네요..
분명 이것을 접시에 담아 완성샷도 찍었는데 말이죠..카메라에서 찾을 수가 없어요.
제가 삽질했나봅니다...ㅡ.ㅜ

*워낙에 다 즐겨드시는 전,부침개라서 배우고 뭐 할것도 없겠지만 여러가지 부침개 중 이런것도 있다..라는거 함 봐주세요^^

*아이들이 없다면 여기에 매운고추 쫑쫑 썰어넣어도 맛있어요.

* 깻잎을 채썰어 넣어도 좋구요.

*간장에 물약간 넣고 식초 조금 넣고 파 송송 썰어 듬뿍 넣어 양념간장 만들어서 찍어 드셔도 맛있답니다.

*여러가지 야채 넣어서 한번 해보세요~^^

 


만들기 너무 쉬워서 당혹스럽기까지한 반찬~^^

그런데 비해 맛은 너무나 훌륭하답니다. 저도 다른분에게서 배운것을 응용한거에요.

원래는 양파장아찌인데 이런저런 야채를 넣었더니 그 맛이 더 좋네요.

요맘때 딱 좋은 반찬이니까 꼭 해보세요~

필요한 재료는요,

잉글리시 큐컴버(코스코에서 파는길쭉한 오이), 당근, 할라피뇨, 양파 정도에요.

야채는 깨끗히 씻어 물기를 제거한 후 적당한 두께로 썰어놓으세요.
양파는 4등분 정도 하시면 되요.

전 당근이 어떨지 몰라 조금만 넣었는데 좀 더 많이 넣을 걸 그랬어요.
당근이 아주 아삭~하니 맛있으니까 넉넉히 넣으셔도 좋답니다.

그리고 간장은요,

설탕:간장:식초=1:1:1 의 비율로 섞어 끓이세요.

썰어놓은 야채는 양파만 빼고 모두 유리병에 담아놓으시구요,

간장양념이 팔팔 끓으며 설탕이 다 녹으면 그대로 야채가 들어있는 병에 부으세요.

뜨거운 간장이 들어가야 야채가 아삭해요

여기서 주의하실 점은 양파는 아니에요~!

양파만 뺀 나머지 야채에 끓는 간장시럽을 넣으시구요,

간장이 식으면 그때 양파를 넣으세요.

양파까지 넣으시면 무거운것으로 위를 채워 눌러주시던지(양파가 위로 뜨면 위로 뜬 부분이 물러져요) 간장으로 꽉 채워서 뚜껑을 닫아 냉장고에 보관하세요.

2-3일 지나면 맛이 들면서 먹을 수 있어요.
여러가지 야채의 맛이 간장에 녹아들어 아주 맛이 좋아요.

매콤한 할라피뇨가 입맛을 확 돌게 해준답니다.


시원한 물에 밥말아 이런 장아찌 몇가지 있으면 한그릇도 뚝딱이죠?ㅎㅎ

맛있게 담가서 드세요~

'음.식.열.전 > 매일먹는 반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 밑반찬 장조림과 계란조림  (9) 2009.02.27
간단반찬-오징어전과 찹스테이크  (8) 2009.02.20
미역 초무침  (2) 2009.02.19
고사리 나물과 된장찌개  (0) 2008.06.18
단무지 만들기  (8) 2008.06.18
« PREV : 1 : ···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 30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