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미국에서 살아남기'

180 POSTS

  1. 2009.04.21 뼛속까지 시원~하게. 김치말이국수. 10
  2. 2009.04.17 하하하...눈이 왔어요. 펑펑. 16
  3. 2009.04.16 뜨끈~하게 콩나물 국밥 6


봄이다 싶었더니 눈이 펑펑 내려주고 그러더니 또 이젠 완전한 봄날씨입니다.
뒷마당 텃밭에 심었던 여러 야채 씨앗들 중 몇가지가 싹을 트고 올라오기 시작했더군요^^

여름날 점심메뉴로, 야식으로, 고기먹고 난 후 입가심으로 개운한 김치말이 국수를 해먹었답니다.

아주 간편 버전으로 소개해드릴게요.

준비하실재료는,

푹 익은 김치
시판 냉면육수
참기름

설탕약간
파송송
삶은계란(옵션)
소면

입니다.

푹 익은 김치는 쫑쫑 썰어서 참기름살짝,설탕아주 약간, 깨 조금 넣어 조물조물 버무려 놓습니다.

찬물에 계란을 삶아 삶은계란을 만들어놓구요

시판냉면육수에 김치국물을 섞어 국물을 만들어 놓습니다.
--> 냉면육수에 김치국물을 섞는다는 느낌이니까 김치국물이 적게 들어갑니다.
냉면육수와 김치국물의 비율이 비슷하게 되면 너무 짜게 되거든요.
1인분씩 포장된 냉면육수에 김치국물 큰 국자로 2/3정도 되는 비율(대략 육수:김치국물=3:1)이면 되지 싶네요^^;;

**꼭 김치국물은 체에 받쳐서 넣으세요. 안그러면 김치양념의 고춧가루등이 같이 들어가 텁텁해요.

두가지를 섞은 후 설탕만 아주 약간 넣어주면 됩니다.(설탕은 기호에 따라 안넣으셔도 되요)

국물은 차게 해서 두시구요,
소면을 삶아 찬물에 헹군 후,그릇에 소면담고, 양념한 김치와 파,계란을 얹어 국물을 붓고 드시면 됩니다.
쫄깃한 국수와 시원한 김치국물이 속을 개운하게 해주는 별미이지요^^


시판냉면육수가 없으시거나 사러가기 귀찮으실때, 집에서 모든것을 하는것이 좋지..싶으신분들은 멸치육수를 진하게 우리셔서 설탕,식초,소금으로 맛을 내서 섞으셔도 됩니다.

요즘 한국의 봄이 여름처럼 덥나봐요.
저녁에 시원하게 한그릇 드셔보세요^^

'음.식.열.전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짜파게티 완벽정복  (2) 2011.05.21
색다른 비빔국수  (6) 2011.01.18
볶음 쌀국수.  (0) 2009.03.19
함흥냉면 따라잡기.  (7) 2009.03.06
집에서 휘리릭~짜장면.  (14) 2009.02.22

하하하...눈이 왔어요. 펑펑.

Posted 2009. 4. 17. 05:40


현관문을 열고 찍은 동네 풍경입니다.
어제 부슬부슬 눈발이 날리긴 했는데 밤새 쏟아졌나보더군요.
아침에 일어나 밖을 보니 어무나.. 뭔일이냐 했습니다.

이곳 유타 날씨가 이렇답니다.
심하면 5월에도 한번 이런다지요..

밤근무를 하고 돌아온 남편이 드라이브웨이에 눈을 치우고 들어왔습니다.

뒷마당으로 나가는걸 보니 뒷마당쪽은 눈이 더하더군요.
밤에 눈보라가 심했나...예민한 내가 왜 몰랐지..바람소리는 듣긴 했는데..했습니다.ㅎㅎ


푹 들어가도록 쌓인 눈이 보이시나요.
뒷마당 한구탱이에 고추장단지(작년 가을에 엄마가 만들어주시고 간..)위에도 수북히 쌓였군요.
네, 4월 중순 맞습니다.


꼭 봄에 이렇게 한번씩 눈이 대차게 와주신다니까요...
바로 며칠전에 날이 확 풀리며 분홍색 흰색 벚꽃이 만발하기에 뒷마당에 텃밭을 가꾸기 위해서 씨앗도 뿌려줬거든요.
이럴 줄 알았어요.......

유타날씨는 알 수가 없답니다~^^

제 친구네 동네에는 눈무게때문에 벚꽃가지들이 많이 부러졌다 하네요.ㅎ

제가 살던 아이다호는 6월에도 이런적이 있으니 뭐 유타가 쫌 낫긴한건가요?

뜨끈~하게 콩나물 국밥

Posted 2009. 4. 16. 13:32

사실 콩나물 국밥도 (누구나 할 줄 안다)지요.
그리고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전 콩나물 국밥을 사먹어 본 적이 없습니다.
남편이 전주에 갔다가 한번 먹고 와서 너무너무너무 맛있었다고 입에 침이 마르도록 이야기를 했었지요.

밥도 무한 리필, 콩나물도 무한 리필, 그러면서 가격은 3천원.
맛의 고장으로 유명한 전라도이니 양도 푸짐하고 맛은 보장이고 아주 행복했나 보더군요.

그래서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딱 한번 해본 적이 있었어요.
그러다 오늘 느닷없는 눈을 보며 으슬으슬 날도 꾸물꾸물 기분도 우중충 몸도 찌뿌둥 그래서 두번째로 한번 끓여봤습니다^^

그래서, 사진도 나중에 먹기 직전이나 찍었네요..
늘 그렇지만 오늘도 용서를 이해를 구합니다.

이거이 너무 간단해서 뭐 레서피랄것도 정말 없어요.

준비하실것은,
멸치육수,
콩나물,
김치,
파,
다진마늘,
새우젓,
고춧가루,
소금

정도지요.

인터넷 어디서 보니 멸치육수를 내고, 콩나물은 따로 삶아 삶은 물을 멸치육수에 섞고 어쩌고 하던데 전 늘 편법을 좋아하며 쉽게 하는것에 머리가 잘 돌아가는 편입니다.(잔머리라고들 하지요...)

일단은 물 넉넉히 냄비에 붓고 국물멸치와 다시마, 무 한도막 넣어 푹 육수를 내줍니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다시마는 건지고 멸치육수 진하게 우린다음 나머지 들을 체로 싹 건져 깨끗한 멸치육수만 남깁니다.

여기에 씻은 콩나물을 넉넉히 넣어 다시 끓입니다.
여기서! 뚜껑을 닫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뚜껑 연채로 삶으세요. 상관없어요. 비린내 안나요^^

콩나물이 익으면 체로 건져 따로 놓으시구요,

뚝배기에 밥을 적당히 담고(평소에 드시는 양 만큼 넣으시면 배터집니다. 적게 넣으세요. 국물때문에 엄청 배불러요), 여기에 김치 쫑쫑썰어 참기름에 조물조물 무친것을 살짝 얹고, 송송 썬 파와 콩나물을 듬뿍 얹습니다.
새우젓을 넣고 다진마늘 약간 넣어 불을 켭니다.

펄펄 끓으면 간을 보시고 모자란간은 소금이나 새우젓으로 마무리하시면 됩니다.

매운거 좋으시면 고춧가루를 확 풀으셔도 좋지요.

계란을 나중에 얹어 불에서 내리기도 하나봐요.
근데 저희 식구는 순두부찌개건 육개장이건 계란푼걸 별로 안좋아해서 생략했습니다.
취향대로 하세요^^

펄펄 끓는 뚝배기를 놓고 너무 뜨거우니 작은 공기 하나 잡고 덜어 먹었습니다.

사진이 부실해 죄송합니다만... 만들기 쉽고, 맛도 괜찮을겁니다.
한번 해보세요^^

저희 동네처럼 내일까지 눈비가 온다면 속이 훈훈해지는 맛을 느끼실거에요^^

'음.식.열.전 > 국,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라리버전 닭개장.  (0) 2012.07.03
중국집 느낌의 짬뽕 끓이기~  (5) 2011.01.09
목까지 시원해지는 새우젓 찌개.  (3) 2009.04.13
갈비탕과 막김치 만들기  (5) 2009.02.23
집에서 만든 순대국  (16) 2009.02.17
« PREV : 1 : ···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 : 60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