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다녔을때.... 이승환과 오태호가 함께 프로젝트 앨범을 만들었다.
이승환은 원래 좋아했었고, 오태호는 들어본 적이 없지만, 노래들이 다 나는 좋았다.
오태호는 노래를 썩 잘하는 느낌은 아니었지만 부담없는 목소리에 그냥 한없이 감성적이 되어버리곤 했다.

 이 노래를 구하고 싶었지만 찾기가 쉽지가 않아 결국 네이버에서 거금 600원을 주고 샀다.ㅠ.ㅠ

여전히 좋다...가사는 상투적이지만.....

'유타에서 쓰는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 소망은?  (0) 2011.01.05
더 이상 게으름은 끝!  (3) 2010.12.26
아..  (1) 2009.09.24
다르다 - 틀리다 . 과연 혼용 가능한 단어인가.  (3) 2009.09.18
윽..한달!!  (2) 2009.07.22

육심원 10년 일기장

Posted 2010. 3. 4. 15:19
다이어리를 장만하고 싶어 검색하다 찾은 육심원 작가의 10년 일기장.
처음에는 일러스트레이터인줄 알았는데 여성을 주로 그리는 화가셨다..
그림체와 색감이 상당히 독특한 느낌이다.
10년 일기장이라는 것은 처음 알았는데 쓰는 방식이 새롭다.
과연 내가 이것을 10년동안 쓸까...의구심이 들기는 하지만서도...
무엇보다 내가 10년간 이 그림을 질려하지 않을 수 있을까가 더 걱정...
헬로서울 다이어리는 딸아이를 위해 주문해준 다이어리.'

10년 다이어리는 42000원의 고가를 자랑하지만, 지난번 휴롬을 주문하면서 쌓인 적립금과 쿠폰등으로 9000원만 지불하는 알뜰 쇼핑을 할 수 있었다는...음하하하...

헬로서울 다이어리도 롯데아이몰에 매일 출석하며 5원 10원씩 모아 쌓은 적립금으로 1500원만 지불하고 산 다이어리.
주위에서 독하다는 소리까지 들은 다이어리들이다.하하....

아직까지는 잘 쓰고 있다.
10년 다이어리의 단점이라면, 칸이 너무 작아 글씨가 거의 몇미리도 안된다는...

처음에는 쓰면서 실수도 하곤 했지만 금방 익숙해져 하루를 마감하는 시간이 되면 어김없이 일기장을 펼친다.

희한한것은, 이상하게도 속내를 다 보이기가 오히려 조심스럽다는것..
내가 내년에,후년에 이 글을 보며 어떤느낌일까를 전제하고 써서 그런지..




개인적으로 사람들이 이 두 단어를 잘못 사용할 경우 난 신경이 많이 거슬린다.
다르다의 경우는 별로 없지만 틀리다의 경우 다르다로 사용해야할 경우에 있어서 틀리다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분명 우리가 교육받아왔고, 맞는 맞춤법으로 지금도 교육하고 있는 것은 다르다 는 같지 않다.의 의미이고, 틀리다는 맞지않다, 그르다의 의미이다.

이는 상상플러스에서 노현정이 짚어준적이 있는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얼마전 지인과 설전이 있었다.

다르다라고 써야할 상황에서 틀리다 라고 사용했기에 다르다라고 써야한다고 짚었더니 끝까지 틀리다 라고 주장했다.

그걸 왜 굳이 구분해서 써야하는지 정말 이해못하겠다고 했다.

난 분명 두 단어는 확연하게 다른 뜻을 가진 단어이고 맞게 써야한다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했다.

지인의 의견은, 짜장면이 잘못된 표현이고 자장면이 맞는 맞춤법이지만 사람들은 오히려 짜장면을 더 많이 사용한다. 자장면이라고 고친이유는 경음화 현상을 기피하는 국어학회인지 한글학회인지에서 바꿔서 그런것이라 이야기한다.

난 그것과 다르다 틀리다는 다른 이야기라고 했다.

틀린그림찾기가 아니고 다른그림찾기가 맞는것이고 분명 구분되어 쓰여야하는 단어라고 난 끝까지 주장했다.

오랜세월동안 사람들이 혼용되어 써왔고, 그 말이 무슨 뜻으로 씌였는지 다 이해한다면 그건 틀린표현이 아니라는 지인의 주장을 난 이해하지 못하겠다.

틀리다 안에 다르다 라는 의미가 있다하며 600년 전부터 사용되어온 흔적이 있다는 것을 찾았다고 하는데 난 그래도 이해가 안된다.

지금현재 논란이 많이 되고 있는 단어라고 주장했지만, 난 논란의 여지가 없는 단어라고 여전히 주장한다.

기자협회인가..에서 이 두단어의 혼용을 허가하라고 한글학회인지 국어학회인지에 청원했지만 받아들여지지가 않고 있다고도 하던데..난 아무리 인터넷을 뒤져도 못찾겠다.

손목이 얇은게 아니고 가늘다고 이야기해야하는것과 마찬가지로,
다르다와 틀리다는 엄격하게 구분되어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이 너무 보수적인건가?

결국 우리의 설전은 니가 아무리 그래도 난 내 주장을 굽힐 수 없다로 마무리 되었다.
다시 설전 혹은 토론을 한다 하더라도 끝은 맺을 수 없을 것 같다.
서로의 생각과 주장과 고집이 워낙에 남다르기 때문에.


*누구 이 두 단어의 정확한 기원과 어원 등을 아시는 분 알려주십시오.
과연 이 두 단어가 혼용되어 사용된 흔적이 몇백년 전 문서에서 발견되었는지,
누가 맞는 것인지... 개인적으로 이런 생각 전 받아들여지지가 않는군요^^

'유타에서 쓰는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 시작한다면 - 이오공감(1992)  (0) 2010.09.01
아..  (1) 2009.09.24
윽..한달!!  (2) 2009.07.22
돼지독감, 괜찮으십니까?  (6) 2009.06.23
너 이제 영어 잘하겠구나~  (5) 2009.05.09
« PREV : 1 : ··· : 6 : 7 : 8 : 9 : 10 : 11 : 12 : ··· : 14 : NEXT »